[삶의 향기] 평상심(平常心)이 곧 도(道)
출가 전 정치학을 공부했다. 원불교대학교에 편입하니, 교양과목으로 ‘한국사’가 개설되어 있었다. 필자가 수강한 학기에 ‘일제강점기 정치 상황’에 대한 과제발표가 있었다. 이력이 제각각인 동료들에 비해 나름대로 자신이 있었지만, 결과는 ‘폭망’이었다. 왜일까. 과도한 자신감, 즉 자만심으로 준비를 소홀히 한 탓이다.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원불교 대학교에서는 일 년에 한 차례 ‘부모님 모시기’ 행사를 한다. 비교적 점잖은 행사지만, 장기자랑 등의 오락성도 가미된 행사였다. 당시만 해도 그런 행사의 사회는 전문가나 끼와 재능이 넘치는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학창시절 간간이 학급회의 사회 정도 본 것이 전부인 필자에게는 이런 행사의 사회를 보라는 제안은 지옥에 들어가라는 말과 다름이 없었다. 하지만, 출가하면서 무슨 일에든 “No”라는 대답은 하지 않기로 원칙을 세웠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수락을 하고 말았다. 쉽게만 보이던 ‘지금부터 부모님 모시기 행사를 시작하겠습니다.’ 오프닝 멘트부터 어찌나 어색하던지, 이 간단한 멘트를 100번 이상은 연습한 것 같다. 치밀한 준비 덕에 농담도 섞어가며 성공적으로 행사를 마치긴 했지만, 지금도 제안 당시의 부담을 생각하면 식은땀이 날 정도이다. 대종사께서 험한 고개를 넘으시며 말씀하셨다. “험한 길에서는 일심 공부가 절로 된다. 험한 길에서는 오히려 실수가 적고 평탄한 길에서는 오히려 실수가 많은 것처럼, 어려운 일에는 오히려 실수가 적고 쉬운 일에 도리어 실수가 있기 쉽다. 마음공부 하는 사람은 험하고 평탄한 곳이나 어렵고 쉬운 일에 마음이 한결같아야 매사에 성공할 수 있다.” 불가에 ‘평상심이 곧 도’라는 말이 있다. 평상심이란 본래 ‘조작이 없고 시비가 없고 취사가 없고 단상이 없고 범부와 성인이 없는 것’이란 의미이지만, 쉽게 말하면 ‘특별한 일이 생기기 전 편안한 상태의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불가에서는 본래 청정하고 밝은 자성을 회복하여 경계를 당했을 때 자성으로 반조하라고 가르치지만, 자성의 개념이 어려우신 분은 특정 경계 이전의 편안한 마음 상태를 표준 하면 된다. 대종사께서 말씀하셨다. “일 없을 때에 일 있을 때의 준비가 없으면 일을 당하여 당황함을 면하지 못할 것이요, 일 있을 때 일 없을 때의 한가한 심경을 가지지 못한다면 마침내 판국에 얽매인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일 없을 때에는 주로 게으름을 피우고, 일 있을 때는 당황하여 실수투성이인 필자로서는 뜨끔하지 않을 수 없는 법문이다. 일을 당해 쉽다고 자만할 것도, 어렵다고 불안해 할 것도 없고, 일이 없다고 게으름 피울 일도, 준비가 덜 되었다고 당황만 할 일도 아니다. 일의 순서를 잡아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최선을 당하여 태연히 행하면 될 뿐이다. 이것이 평상심이 도라 하신 성현들이 본의일 것이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마음이 어디에도 끌리지 않을 수양력을 길러야 하는 이유이다. drongiandy@gmail.com 양은철 / 교무·원불교 미주서부훈련원삶의 향기 평상심 실수투성이인 필자 마음 상태 전부인 필자